
우리가 취득하는 자격증은 굉장히 많은 종류가 있습니다. 국가기술자격증, 국가전문자격증, 민간자격증으로 구분되며 자격증마다 응시제한과 취득방법이 다르게 나타나 있죠. 국가에서 인정한 공인자격증인 만큼 국가자격증을 기준으로 자격증을 많이 취득하고 있는데요. 이 국가자격증에서 국가기술자격증 종류는 단계별 제도를 도입하여 자격증의 난이도와 응시자격즐 제한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국가기술자격증 단계별 응시자격과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능사 자격증은 자격제한이 따로 없습니다. 누구나 응시를 할 수 있고 모든 기술자격증에서 1단계 자격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만큼 난이도도 제일 쉽고 합격률도 높은 편에 속합니다. 보통 기능장을 시작으로 단계별 자격증을 취득하는 편입니다. 기능사 다음 자격증으로는 산업기사 자격증인데요. 기능사를 취득 후 실무경력 1년, 관련직무 대학교 졸업, 전문대졸업(+실무경력), 실무경력 2년,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 산업기사 등급 이상 취득자 만이 산업기사 자격증을 응시할 수 있습니다.

산업기사 자격증을 취득하고 해당 직무능력을 1년 쌓으면 기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는데요. 자격증이 없다면 기능사 자격증 취득 후 실무능력 3년, 관련직무 대학교 졸업, 전문대2년제 졸업과 실무경력 2년, 전문대 3년제 졸업과 실무경력 1년, 실무경력 4년, 동일 및 유사분야 기사등급 이상 취득자만 자격증 시험을 응시할 수 있습니다.

자격증의 종류에 따라 기능장 단계가 있는 경우가 있는데요. 기능장의 경우 실무경력 9년, 산업기사 취득 후 실무경력 5년, 기능사 취득 후 실무경력 7년, 기능장 과정 이수, 산업기사 취득 후 관련 직무 대학교졸업, 동일 및 유사분야 종목 기능장 등급을 취득하신 분이 자격증 시험을 응시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술사 자격증은 국가기술자격증 중 가장 난이도가 있는 자격증 단계입니다. 해당 직무의 기술자 자격증이라면 직무능력을 충분히 인정받을 수 있는 단계라고 할 수 있죠. 기사 자격증을 취득 후 실무경력 4년, 산업기사 취득 후 실무경력 5년, 기능사 취득 후 실무경력 7년, 4년제 대학교 졸업 후 실무경력 6년, 동일 및 유사직무 분야의 다른 종목 기술사 등급 취득자만 응시하실 수 있습니다.

이렇게 국가기술자격증의 단계별 응시자격을 알아봤습니다. 직무에 대한 실무경력을 처음 시작하기부터 계속해서 개발을 하기 위해서는 직무 단계별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이 가장 두드러질 수 있습니다. 직무 경력을 쌓고 있는 분들이라면 단계별 응시자격을 미리 체크하셔서 자격증을 준비하시면 더욱 효율적으로 자격증을 취득하실 수 있으실 것입니다. 자격증을 준비하시는 모든 분들을 응원하며 더 유용한 정보로 다시 찾아 뵙겠습니다!
'자격증정보 > 국가자격증 알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산물품질관리사 자격증, 이렇게 한번 도전해보세요 (0) | 2021.09.01 |
---|---|
4차산업 블루오션, VR관련자격증 알아보기 (0) | 2021.08.31 |
전산세무회계자격시험, 공략포인트는? (0) | 2021.08.23 |
임업관련자격증, 틈새산업을 노려보자! 취업전망 UP! (0) | 2021.08.17 |
공인노무사 자격증 응시자격과 취득방법, 알려드릴게요! (0) | 2021.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