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넷,자격증넷

국가자격증 전문자격증 큐넷의 자격증 정보는 자넷에서

자격증정보/국가자격증 알아보기

틈새기술자가 되어보자! 금형관련자격증 종류 알아보기

자격증 정보는, 자넷(JANET) 2021. 12. 24. 15:58
반응형

세월이 흘러도 그 가치가 변하지 않는 직업들은 공통점이 있습니다. 바로 독자적인 기술력을 지니고 있다는 것인데요. 기술력은 하루아침에 학습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죠. 오랜 시간을 작업하면서 자신만의 노하우를 터득하여 쌓아 나가는 것이 경쟁력이자 기술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기술직 중에 하나인 금형기술직업에 대해서 알아볼 것인데요. 남다른 학습능력을 요구하지 않아도 노력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는 기술력을 갖출 수 있는 과정, 금형관련자격증 취득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금형기능사

 

금형관련자격증 중 가장 기본적인 자격증이 될 수 있습니다. 기본 자격증인 만큼 응시자격에 제한이 없고 누구나 기술력과 전문지식만 익히면 취득할 수 있는 자격증입니다. 금형은 동일한 제품을 대량 생산하기 위해 금속 재료를 사용하여 만든 틀이나 형을 뜻하는 것으로 금형 기능사는 도면을 보고 요구 내용대로 재료의 소성과 유동성을 고려, 범용 기계 및 자동화 기계를 이용하여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금속재료로 틀을 제작하는 직무를 수행합니다. 필시시험으로 금형 제작법 및 안전관리, 금형 재료 및 요소, 기계제도 과목으로 객관식 시험을 치르게 되며 실기시험으로 금형제작 작업형 시험을 4시간 치르고 합격하면 취득하실 수 있습니다.

사출금형산업기사 

 

사출금형산업기사는 단일공정 및 여러 단계의 공정에 맞게 형을 만드는 작업을 위해 금형의 제작 순서와 수량을 결정하고 필요한 금형세트를 결정하며 금형제작에 필요한 금형의 크기와 치수를 표시한 각각의 금형세트 설계, 가공, 제작, 검사하는 업무를 수행하며 과정평가형 자격제도로 충분히 취득할 수 있습니다. 응시자격은 동일(유사분야) 산업기사 자격증 보유, 기능사+실무경력 1년, 동일종목 외국자격 취득, 기능경기대회 입상, 대졸, 전문대졸, 훈련과정 이수, 실무경력 2년의 제한이 주어지며 필기시험으로 금형설계, 기계 가공법 및 안전관리, 금형재료 및 정밀계측 과목으로 객관식 시험을 치르게 되고 실기시험으로 사출금형설계 및 가공 작업으로 10시간, 2일에 걸쳐 시험을 치르게 됩니다.

프레스금형산업기사

 

프레스금형산업기사의 경우 사출금형과 비슷하게 생각하실 수 있지만 재질에 있어서 엄연한 차이가 있습니다. 사출금형의 경우 플라스틱 재질로 제품 형상을 만드는 반면 프레스금형의 경우 철판 재질로 제품 형상을 만들기 때문에 금형의 구조가 다르게 보일 수 있습니다. 원리는 비슷하나 재질에 의한 가공법과 설계가 차이가 있기 때문에 다른 기술로 볼 수 있겠습니다. 산업기사의 자격증으로 사출금형산업기사와 응시제한은 동일한 형태이며 필기시험은 금형설계, 기계 가공법 및 안전관리, 금형재료 및 정밀계측 과목으로 객관식 시험을 치르게 되며 실기시험의 경우 프레스금형(CAD작업), 가공(CAM작업) 작업형 시험 5시간으로 시험을 치르게 됩니다.

금형기술은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그 기술력과 노하우의 가치가 커지는 기술입니다. 처음부터 차근차근 기술을 익히고 자신의 전문지식을 쌓아 나간다면 관련 업무 취직은 어렵지 않을 것입니다. 오늘 알려드린 자격증은 취득하고 경력을 갖춘다면 자격증까지 취득할 수 있으니 금형관련자격증을 준비하시는 분들은 한번 도전해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